![]() | ||||||
LS산전㈜ 전력기기사업부 마케팅팀 사원 백 경 호(khpaek@lsis.biz) | ||||||
[차례] 1회차 : 배선용차단기의 개요 2회차 : 제품의 구조 및 동작 원리 3회차 : 배선용차단기의 선정방법 4회차 : 주요 내외부 부속장치의 용도와 사용법 5회차 : 용도별 배선용차단기의 종류 6회차 : 취득 규격 및 표기사항 이해 7회차 : 유지보수 및 각종 이상현상에 대한 대처 방법 8회차 : 자주 문의되는 질문 모음(FAQ) | ||||||
이번 호에는 배선용차단기와 관련하여 자주 문의되는 질문(FAQ)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기에서 다루는 FAQ는 당사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님들께서 직접 문의하신 사항들 중 일부를 정리한 것입니다. | ||||||
Q1. 배선용차단기(MCCB)는 무엇입니까? | ||||||
A1. 배선용차단기란 교류600V이하, 직류250V이하의 저압 옥내 전로의 보호에 사용하는 정격전류 2500A이하의 Mold Case로 둘러 쌓인 차단기로 미국 규격 NEMA에는 Molded Case Circuit Breaker(MCCB)라 칭하며 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입니다. | ||||||
Q2. 배선용차단기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
A2. MCCB는 회로에 이상이 생겼을 때 재빨리 전로를 차단함으로써 배선, 접속기기 파괴나 화재발생을 방지하는 기기로서 과부하 차단 및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차단을 합니다. | ||||||
| ||||||
Q4. 배선용차단기(MCCB)와 회로보호기(CP)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 ||||||
A4. 회로보호기는 Circuit Protector라 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기기로서 기종이 매우 다양합니다. 전류차단에 가장 빠른 특성순서에 따라 순시형, 고속형, 중속형, 저속형의 종류가 있으며, Delay unit를 설치하여 속도를 더욱 늦추도록 하고 있습니다. 배선용차단기와 비교하여 0.1A, 0.25A 등 소전류의 트립특성을 가지고 있어 소전류 차단도 가능합니다. | ||||||
Q5. 저압차단기(MCCB, ACB)에서 AF 와 AT가 있는데 그것은 무엇을 의미 합니까? | ||||||
A5. AT의 뜻은 Ampere Trip의 약자이고 AF는 Ampere Frame의 약자입니다. | ||||||
|
||||||
Q7. 배선용차단기의 사고 차단시 소호원리는 무엇입니까? | ||||||
A7. 그림 1-3은 소호실의 단면으로 V자형을 갖는 자성판을 적당한 간격으로 쌓아, 그것을 절연물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접촉자가 개리하여 Arc가 발생하면 Arc는 V자형 Gride의 안쪽으로 이동합니다. Arc는 그리드에 의해 냉각되고 동시에 각 그리드 사이에 짧은 Arc로 분할되어 Arc전압이 높아집니다. | ||||||
![]() | ||||||
[그림 1-3] | ||||||
Q8. DC를 차단할 수 있는 배선용차단기가 제작되어 나오고 있습니까? | ||||||
A8. 현재 국내에서 DC를 전용으로 차단하는 배선용차단기는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 | ||||||
| ||||||
Q10. 배선용차단기의 부착위치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
A10. 배선용차단기는 수직면에 대해 평행으로 취부하는 것이 표준입니다. | ||||||
![]() | ||||||
[그림 1-5] 정격전류 보정율 | ||||||
Q11. 배선용차단기의 AT 산정은 어떻게 합니까? | ||||||
A11. 배선용차단기의 AT산정은 먼저 분기의 전류를 계산하여 전선의 허용전류를 산정하고, 배선용차단기의 AT를 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내선규정에 의한 산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그림 1-6] 배선용차단기 AT산정(모터부하 있을 경우) | ||||||
Q12. MCCB의 정격사양에 있어서 2P1E, 2P2E, 3P3E의 등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 ||||||
A12. 배선용차단기와 누전차단기의 있어서 P는 Pole의 약자로서 극수를 의미 합니다. |
||||||
Q13. MCCB를 전원측과 부하측을 거꾸로 달면 어떻게 되나요? | ||||||
A13. 당사의 배선용차단기에는 전원측과 부하측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
||||||
Q14. MCCB의 교체 주기는 얼마인가요? | ||||||
A14. 배선용차단기의 수명은 사용 환경, 사용 조건 등에 따라 동일한 배선용차단기라 할지라도 달라집니다. 참고로 일본전설공업협회에서 발간한 자료에 의하면 배선용차단기의 교체추천시기는 약 10~15년입니다. |
||||||
Q15. MCCB의 표면을 만져 보면 뜨거운데 문제가 없는지요? | ||||||
A15.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의한 안전인증 규격과 IEC60947-2규격에는 아래의 표와 같이 차단기 각부의 온도상승한계가 규정되어 있습니다. 온도상승한계는 측정된 온도에서 주위온도를 뺀 온도입니다. |
||||||
![]() | ||||||
[표 1] 단자 및 접촉 가능 부품의 온도 상승 한계(안전인증 규격 & IEC60947-2규격) | ||||||
이상과 같이 배선용차단기와 관련하여 자주 문의되는 질문 모음(FAQ) 몇 가지를 알아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배선용차단기 뉴스레터에 많은 관심을 보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향후에도 좀 더 알찬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
'배선용차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차단기 용량선정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0) | 2007.02.19 |
---|---|
[스크랩] 주요 내외부 부속장치의 용도와 사용법 (0) | 2007.02.19 |
[스크랩] 유지보수 및 각종 이상현상에 대한 대처 방법 (0) | 2007.02.19 |
[스크랩] 용도별 배선용차단기의 종류 (0) | 2007.02.19 |
[스크랩] 취득 규격 및 표기사항 이해 (0) | 2007.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