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술관련

[스크랩] 비접지 방식에서 GPT에 대하여

살라이마리꼼 2007. 3. 14. 07:05
접지방식 계통과 비접지방식 계통의 보호계전 System의 적용

   1. 비접지 방식; 비접지 방식이나 고저항 접지 방식의 지락 보호를 위하여 영상전압,

              영상전류, 벡터량을 검출하여 SGR을 적용

      1) 영상전류의 검출 방법 - ZCT이용

      2) 영상 접압의 검출

         (1) 선택 지락 방향 계전기(SGR)의 기준 입력으로 사용되는 영상 전압의

                         검출 방으로 GPT(접지변압기)Open- 델타방식을 이용한다.

 

        (2) GPT의 결선

                     

        (3) ZCT와 GPT의 조합을 통한 선택 지략 방향 계전기(SGR)의 결선 및 동작

            가. 지락상 램프; 1선 지락시 지락상의 램프는 꺼지고 건전상의 램프는

                 밝아진다.

           나. GPT  + OVGR; 영상 전압에 의한 경보 또는 CB Trip

           다. SGR, DGR을 통한 선택 차단

[4] 다중접지 방식과 비접지 방식의 비교

구 분 다중접지 방식 비접지 방식
고장 전류 크다 작다
특고압 방식 3상4선식, 22.9[kV-Y] 3상3선식, 22kV
전압 검출 PT GPT
전류 검출 CT ZCT
적용 보호 계전기 OCR, OVR, UVR GR, SGR, DGR

 

 

 

 

GPT ( Grounding Potential Transformer : 접지형 계기용변압기)
계통의 지락사고시 영상전압(극성전압)을 검출하여 지락계전기(OVGR: Overvoltage Ground Relay) 를 동작시키기 위해 설치하며, 일반적으로 자가용 배전계통의 접지방식으로서 고압의 가공선 가공선계통 및 소규모의 케이블 계통에는 비접지 방식이 사용되며, 고압의 대규모 케이블 계통에는 고저항접지방식을, 특고계통에서는 저저항 접지방식이 많이 채용된다. 쉽게 말하자면 선로의 지락(어스,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락계전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계기로, 중성점(접지)이 없는 비접지계통(주로 3.3kv)에 반드시 필요하며, 22.9kv 계통에는 3상4선식으로서 1선이 접지되어 있어 접지된 선을 이용하여 GPT가 필요없이 OCGR을 CT에 연결하여 바로 지락을 방지할 수 있다. 원리는 중성점의 불안정을 제어함과 동시에 지락전류의 유효성분을 필요한 양만 흐르게하는 한류저항과 조합하여 각 배선에 ZCT(영상변류기)를 접속하여 정상적인 선과 고장이 생긴 선과의 선택이 한류저항에 의하야 흐르는 전류와 합해져 접지점에서 대지 충전전류를 합성한 것을 검출하는 방식이며 용량은 대략 부담하는 판넬 수(1대당 30-40VA)를 합한 것과 같다.
 사진 위는 저용량, 아래는 대용량형이다.

 

 

보통 비접지방식에서 1선지락시 GPT 3차 영상전압이 190v정도 나오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상 램프는 평상시에는 63.5v정도 인가되어 희미하게 불이 와있다가 지락시 지락상은 소등되고 건전상은 110v인가되어 램프가 밝아 지는데.....
여기서 완전지락시 어떻게 영상전압이 190V가 나오는지 이해가 잘 되질 않습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완전지락시 영상전압계 양단에 선간전압이 인가되어 190v가 나온다고 되어 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질 않네요...벡터도나 그림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좀 해주십시요....

 

 

 

GPT ( Grounding Potential Transformer : 접지형 계기용변압기) 의 1차 22,900V 결선은 와이결선으로 되어있고요 2차 190V 는 델타결선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1차 22,900V R,S,T 회선중 예를들어 R상 1선이 지락이외되면은 1차 와이결선에서 지락되는 누전된 선은 전압강하가되고 나머지 2선 S상, T상은 누전되는 선과 상간전압을 형성되어 와결선에서 상전압보다 상간전압이 루트3배 커지게됩니다

 

그러므로 2차 권선은 델타결선입니다 처음 1차각선에 누전이 없을때는 필라멘트에의한 상전압 즉 63.5V 에 의하여 각상별로 희미하게 들어옵니다

 

그러다가 1선이 1차에서 누전되면 위에서말한것처럼 1차와이결선에서 누전되는 R상은 전압강하가되어서 램프가 희미하게되고 나머지 S상,T상은 1차권선이 루트3배의 전압이 상승되므로 2차측 델타결선도 승압되어서 63.5V * 루트3 = 110V가되어서 S상과 T상이 램프가 밝게되는것이고.........

 

완전지락시 즉 3선 즉 R,S,T상 3선 모두누전시에는 3상이 모두누전되므로 120도 위상차가 생겨서 루트3배가 더커져서 63.5V * 루트3 * 루트3 = 190V 가되어서 3상모두램프가 아주 밝게되는것입니다

 

저희업체는 GPT ( Grounding Potential Transformer : 접지형 계기용변압기) 가 없으나  현장의 실물은 보지 못했으나 실물을 보지않고 여러가지 자료를 파악하여 내 경험상 상식으로 글을 옭립니다..........

출처 : 화/력/지/원/의/건/축/설/비/속으로....
글쓴이 : 화력지원최재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