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차단기 오동작 원인
누전차단기 오동작 원인중 주된 원인에 대해 알아보면
(1) 서지(Surge)에 의한 것
배전선의 유도뢰(誘導雷)에 의한 서지에 대하여서는 KSC 4613에 따라 뇌임펄스 부동작시험을 하므로 내서지성능은 보증되고 있다. 유도뢰서지의 영향을 받으면 높은 전압이 전선로를 통하여 배전기기에 가하여진다. 이 경우 ELB의 전자회로가 오동작하여 트립된다든지 전자부품이 파괴되어 동작불능의 고장을 일으킬수 있다. 인입구용 ELB등에서는 이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유도뢰에 의한 서지의 크기와 빈도는 지역에 따라서 상당히 다르지만 통계적으로 5kV이하가 대부분이며 최고 6∼7kV에 이르는 경우도 가끔 있다. LG 누전차단기는 이와같은 서지에 충분히 대응가능한 서지흡수소지품 전자회로부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오동작의 염려가 없다.
(2) 순환전류에 의한 것
그림 1과 같이 부하측이 병렬결합된 회로에서는 좌우분기 각 상분의 분류전류가 반드시 동일하게 된다고 할 수 없으며, 예를 들어 A상이 11A와 9A로 분류하여 흐른다고 하면 그 차에 해당하는 1A의 전류가 이 병렬회로의 루프를 순환하게 된다.
이 순환전류는 ELB에 있어서 지락전류로 검출되므로 이러한 ELB의 병력사용은 절대로 금지하여야 한다.
(3) 유도에 의한 것
위의 ②에서와 같은 병렬회로에서는 ZCT의 1차 권선이 루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순환전류 뿐만 아니라 주변의 대전류모선의 자장에 의하여 유도전류가 발생하기 쉽다.
(4) 캐리어폰에 의한 것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는 캐리어폰이 설치되어 있는 전로에 ELB를 설치하면 오동작하게 된다.
캐리어폰 장치에서 나오는 고주파 신호(통상 50kHz∼400kHz)를 ELB가 지락전류로 검출하게 되기 때문에 오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오동작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는 고주파 신호의 크기와 ELB의 고주파 특성 및 정격감도전류의 크기에 좌우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주파신호의 크기를 상시 누설전류로 고려하여 ELB의 감도전류를 선정하여야 한다.
'전기기술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계량기 산정 방식 (0) | 2010.02.25 |
---|---|
[스크랩] Re:플로트를 이용한 배수펌프 동작의 기본원리 (0) | 2010.02.25 |
불평형 전압 (0) | 2009.06.06 |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 (0) | 2009.06.06 |
제3고조파 순환전류에 대하여 (0) | 2009.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