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

[스크랩] Re: 백두대간 ? 구간별 구분

살라이마리꼼 2010. 8. 12. 06:48
  • 백두대간 ? 구간별 구분
  • 백두대간이란 말은 이제 어느 정도 많은 이들에게 알려져 있다. 많은 산악인들이 홍보를 해왔고, 각 산악회마다 백두대간 종주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등뼈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대간이라는 인식이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대간과 정간, 정맥에 대한 개념과 일제가 우리에게 남겨준 산맥개념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대간과 정간은 우리 고유의 지리학이며, 지리의 모양 그대로 서술한 지리인식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반면에 산맥이란 땅속의 지질구조선에 근거하여 땅 위의 산들을 분류한 선으로 인위적으로 가공된 지질학적인 선이다. 이러한 대간과 정맥 개념은 1769년 여암 신경준이 펴낸 『산경표』(山經表 : 이 책의 편자에 대해서는 이 글 맨 아래에 다른 의견이 있으니 참고 바람. - 홈지기)라는 지리서에 나타난다. 선조들은 산과 강을 하나의 유기적인 자연구조로 보고 그 사이에 얽힌 원리를 찾는데 그 근간을 두었다. 『산경표』에 나타난 1대간 1정간 13정맥은 그러한 노력의 결실이라 하겠다.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한 것은 어느 개인의 돌출된 아이디어가 아니라 축적된 지리인식의 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산맥이란 일본인들의 개념이 그대로 교과서에 실려 오늘날까지 우리 아들 딸들에게 그대로 가르치고 있다. 결론부터 이야기한다면 태백산맥이니 소백산맥이니 하는 산맥명칭은 이제 우리고유의 산줄기 인식에 따라 백두대간,호남정맥, 한북정맥 등의 명칭으로 되돌려져야 한다. 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운동에 앞장 서야 될 것으로 생각해서 앞으로 대간과 정간, 정맥 그리고 산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연재할 예정이다. 산맥이라는 용어는 일제가 조선강점을 기정사실 해 나가던 무렵인 1903년 일본인 지리학자 고토 분지로(小藤文次郞)의 손에 의해 태어났다. 그이는 조선의 지질을 연구하여 <한반도의 지질구조도>라는 것을 발표하였고,거기에 기초하여 태백산맥, 소백산맥, 차령산맥 등의 산맥이름이 생겨나게 되었다. 고토가 우리나라 땅을 조사한 것은 1900년 및 1902년 두 차례에 걸친 14개월 동안이었다. 한 나라의 지질구조를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 그만한 기간에 완전하게 조사했다고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03년에 발표된 한 개인의 이 지질학적 연구성과는 우리나라 지리학의 기초로 자리잡아 『산경표』를 대신하여 지리교과서에 들어 앉게 되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음 두 가지를 눈여겨 보자. 첫째, 지질학적인 연구가 지리학 연구보다 선행되었다는 사실이다. 당시의 추세에 의한 학문적인 욕구로 볼 수도 있으나, 식민지 지하자원의 수탈을 염두에 둔 우선 사업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둘째, 현실의 지리와 어울리지 않는 지질구조의 성급한 도입에 다른 의도는 없었는가. 그것이 실수였건 의도적이었건 지질학이 지리학의 뼈대로 자리잡는 순간부터 우리나라 국토인식의 왜곡, 문화전통의 왜곡, 역사의 왜곡, 총체적 민족자존심의 왜곡 내지 상실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호남정맥과 노령산맥의 차이는 그 이름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호남정맥이 노령산맥으로 바뀌었다"는 말은 산줄기는 같은 산줄기인데 이름만 '호남'에서 '노령'으로 바뀌었다는 뜻이 아니라, '정맥'으로 표현되는 지리체계가 사라지고, '산맥'으로 표현되는 체계가 도입되었다"는 뜻이다. 반복하자면 정맥과 산맥은 지리인식의 출발이 다르고, 분류방법이 다르며, 당연히 산줄기에 포함되는 산들도 다르다. 결과적으로 산줄기 이름이 같지 않는 것은 부수적인 문제가 될 뿐이다. 산맥개념 1) 땅속의 지질구조선에 근거하여 땅 위의 산들을 분류하였다. 2) 따라서 산맥선은 도중에 강(또는 바다)에 의해 여러 차례 끊기고 3) 실제 지형과 일치하지 않으며 4) 인위적으로 가공된 지질학적인 선이다. 『산경표』 1) 땅 위에 실존하는 산과 강에 기초하여 산줄기를 그렸다. 2) 따라서 산줄기는 산에서 산으로만 이어지고 3) 실제 지형과 일치하며 4) 지리학적으로 자연스러운 선이다. 산맥개념의 문제점 앞서도 말한대로 산맥이란 땅 속의 일정한 선을 기준으로 땅 위의 산을 분류하...더보기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방랑자님 원글보기
메모 :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관악산 산행코스&지도  (0) 2010.11.30
대간, 정간과 정맥  (0) 2010.08.12
[스크랩] 서울서 지리산 천왕봉, 하루 만에 다녀오기  (0) 2009.09.19
[스크랩] 서울근교산  (0) 2009.03.02
관악산 산행코스  (0) 2008.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