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현상 분석
선정된 주제의 내용을 몇 개의 항목으로 나누고 항목별 크기, 형태, 영향의 정도를 파악 개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방향을 올바로 잡고 중점관리를 선정하여 개선의 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함이다.
① 주제의 분석을 위하여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항목을 결정한다.
예컨대 불량에 대한 항목으로는 불량형태, 불량주기, 불량발생장소, 불량에 의한 손실, 불량건수, 불량의 모습, 개인별 차이, 설비별 차이 등의 항목이다.
과거의 데이터가 있으면 수집 분석하고 데이터가 없으면 기간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특정부문 만을 분석한 경우 사실과 다른 분석이 발생된다.
② 업무를 분장하여 조사하므로 개인별 기술과 열의 차이가 많이 발생되므로 리더의 팀원 파악과 업무 분장의 스킬이 요구된다.
③ 데이터 수집이 팀 자체의 능력으로만 되지 않을 때, 지도 사원이나 사무국 등의 협조를 얻어 진행한다.
④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실과 차이가 없음을 분명히 확인한다.
|
요 점 |
|
|
| |
1. 데이터로 말하는 습관을 기른다. 2. 전체적으로 넓게 관찰한다. 3. 데이터와 현상의 배경을 잘 살펴본다. 4. 분석결과를 도표화한다. |
[예] 현상파악
3-1 밸브수리 공정별 소요공수 데이터 시트 3-2 공정별 소요공구 파레토도
3-3 밸브수리 소요공수현황 3-4 밸브 표준대비 실투입 비교표
(200A.GLOBE) 단위 (분)
'품질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분임조 활동12:효과파악 (0) | 2010.10.18 |
---|---|
[스크랩] 분임조 활동7: 주제선정 (0) | 2010.10.18 |
[스크랩] 분임조 활동11: 목표 및 대책 수립 (0) | 2010.10.18 |
[스크랩] APQP 수행의 사고방식4 (0) | 2010.10.18 |
[스크랩] APQP 수행의 사고방식3 (0) | 2010.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