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력휴즈는 고압 및 특별고압 기기의 단락보호용이고, 소호방식에 따라
한류형과 비한류형이 있다.
2) 현재 수변전설비에서는 한류형이 많이 쓰이고 있는데 한류형 휴즈는
높은 arc저항을 발생하여 사고전류를 한류억제하여 차단하는 휴즈이다.
3) 전력휴즈는 과부하전류나 과도전류의 보호는 기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정격전류의 수배이상인 과부하전류는 부하의 변동이 원인이
되어발생하고 과도전류는 변압기의 투입전류, 전동기의 기동전류 등
매우 짧은 시간에만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전류이므로 이것 때문에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
전력휴즈가 이를 보호하게 되면 자주 결상이 되거나 수명이 단축된다.
그러므로 파워휴즈는 과전류 가운데 단락전류를 고속도 한류차단하는
단락보호용 휴즈이다.
4) 전력휴즈는 차단기와 릴레이, 변성기의 3가지 기기 역할을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확실한 동작특성으로 오동작이 없다.
5) 전력휴즈은 차단기와는 달라서 자주 과부하를 차단할 필요가 있는 부분, 퓨즈동작
후 재투입이 필요한 개소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재투입 불가능)
1.전력휴즈의 장점과 단점
|
2. 전력퓨우즈의 용도
1) 변압기 등의 고장으로부터 전단 송전선로 및 계통 보호
2) 변압기 부하측의 단락 또는 과부하로 부터 변압기의 보호
3) 역율 개선용 콘덴서의 고장으로부터 콘덴서뱅크의 연쇄고장 파급방지
4) 전력케이블 및 버스닥터 내의 전력선 보호
5) COS백업퓨즈용 또는 COS보다 큰 차단용량이 요구되는 경우
6) 돌입전류의 발생빈도가 높아서 한류퓨우즈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
7) 계통에 연루된 과부하 보호장치와 상호 긴밀한 보호협조가 필요한 경우
3. 전력퓨우즈 및 퓨우즈유니트 선정시 유의사항
1) 전력퓨우즈의 정격전압이 선로전압 이상 일것.
2) 일상 최대부하와 비상 첨두부하를 고려한 부하계획에 의거하여 전류정격을 선정할 것
3) 단락전류의 크기와 차단용량(X/R고려) 이 전력퓨우즈의 정격을 초과하지 않을 것
4) 변압기 1,2차와 연루된 계통의 보호장치와 상호보호 및 동작협조를 고려할 것
5) 순간정전시 변압기 전부하전류의 12∼15배에 이르며 약 0.1초간 흐르는 돌입전류에
대하여 전력퓨우즈의 용단시간-전류특성이 적합한지 검토할 것
6) 전원 3상중 1상의 전력퓨우즈만 용단 될 경우에 대비하여 계통에 연결되는 전동기의
결상소손방지 대책을 강구 할 것
7) 최소용단시간-전류특성곡선은 ANSI C 37.41-1981의 12.1.4.에 의거 가용체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않는 상태에서 시험전류를 흘려서 작성한 것이므로 실제는 부하전류에
따라 용단시간이 단축됨을 고려할 것
'전기기술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파트(공동주택)의 전기요금 계산방법 (0) | 2007.03.14 |
---|---|
[스크랩] 아나로그 회로시험기(circuit tester) 사용법 (0) | 2007.03.14 |
[스크랩] 보호계전기 종류 (0) | 2007.02.19 |
[스크랩] 전선굵기 산정 (0) | 2007.02.15 |
[스크랩] 전력 자동제어 (0) | 2006.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