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꾸미기

[스크랩] 웹2.0의 세 기둥 RSS, tag, Ajax

살라이마리꼼 2008. 4. 2. 10:54

통일되지 않은 상태다. ‘PIE, ATOM, OPML, mbox’ 등은 RSS와 다른 새로운 배포형식 규격이다.

RSS는 많은 것을 변화시켰다. RSS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방문해 보는 방문시대에서 구독시대로 변화시켰다. 개발자 관점으로 보면 페이지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사실을 알 수 있는 큰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이런 특징 때문에 RSS를 ‘성장하는 웹(the incremental web)’ 또는 ‘살아있는 웹(live web)’이라고 불릴 정도다.

RSS 보급에는 블로그의 영향을 빼놓을 수 없다. 실질적으로 RSS를 가장 잘 활용하고 있는 곳이 블로그이기 때문이다. 신기술이 빛을 보지 못하고 사라지는 경우가 많은데 RSS는 블로그에서 적극적으로 이용되면서 빛을 보게 된 것이다. 블로그의 확산과 맞물리면서 RSS 기술도 확산되었다.

RSS는 RSS를 발행하는 사람과 이를 수집하는 쪽, 재배포하는 곳, 구독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양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발행자 입장에서 보면 RSS는 발행자의 힘을 강화시켜 준 일등공신이다. 과거에는 ‘갑’이라는 개인이 A라는 좋은 글을 쓴다 해도 A라는 문서를 작성한 사실조차 네티즌에게 알릴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갑’이 A라는 글을 작성하는 즉시 RSS 구독자의 구독기나 메타사이트에 이 사실이 전달된다. 이 글은 구독자와 메타사이트 방문객을 통해 또 다시 재배포가 이루어지면서 순식간에 네트워크 전체에 퍼진다. 중앙에 집중되었던 배포권이 개인에게도 주어짐으로써 개인 블로그의 힘이 강화된 것이다. 블로그가 매체나 언론으로 자주 조명 받는 이유는 RSS라는 배포 기술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면 2> 올블로그(www.allblog.net)와 같은 메타사이트를 통해 RSS를 좀 더 많은 사람에게 배포할 수 있다.

물론, RSS도 문제점은 있다. 사용법이 어려운 것이 첫 번째 문제다. RSS 주소를 복사한 다음에 구독기에 추가하는 사용법은 학습이 필요한 복잡한 방법이다. 이 때문에 파이어폭스와 같은 브라우저는 라이브북마크라는 RSS 구독 기능을 내장해, 즐겨찾기처럼 RSS 구독을 추가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더욱 좋은 방법은 사용자가 RSS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면서 RSS를 사용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야후나 구글 등은 사용자들에게 채널 형태로 구독할 사이트를 추천해주고 사용자가 이를 구독하겠다고 OK 단추만 누르면 해당 사이트를 RSS로 구독할 수 있게 도와준다.

RSS의 또 다른 문제는 철학적 문제다. 발행자와 구독자의 요구가 서로 다른 데서 생기는 거리를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가장 큰 문제다. 그 외에도 RSS 수집기가 발행자 사이트에 주는 트래픽 부담이나 RSS 내 광고와 같은 기술적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RSS의 향후 과제는 새로운 기능의 구현보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 구현이 되어야 할 것이다.

검색과 분류방법의 새로운 보완책 태그
태그(tag)는 학생들의 이름표, 수하물의 딱지, 제품의 상표를 뜻한다. 웹에서도 태그 기술은 어떤 글이나 자료에 붙여놓은 추가정보를 뜻한다. 다른 말로 키워드(keyword)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과거의 태그 기술과 달라진 점은 시맨틱웹 기술을 적용하여 ‘의미있는 꼬리표(semantic tags)’로 재탄생했다는 점이다.

태그 방식은 기존의 폴더형(디렉토리형) 분류 방식이나 낱말 중심 검색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해준다. 예를 들어 지메일(gmail), 피카사에 대한 글이 있어도 기존 검색방법은 ‘구글’이라는 낱말이 들어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검색결과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지메일 피카사 글에 ‘구글’이라는 낱말을 태그로 달아두면 ‘구글’이라는 태그로 지메일과 피카사 글도 함께 볼 수 있다.

낱말 검색의 또 다른 문제는 불필요한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는 사실이다. ‘구글’이 들어간 모든 문서를 검색해 1천 개의 문서를 보여준다고 하자. 1천 개 문서 중에서 995개는 단지 구글이라는 낱말이 나열된 것에 불과하고 구글에 관한 심층적인 글은 단 다섯 개일 것이다. 이 중 구글과 관련된 문서가 몇 개인지 알 수도 없고, 다섯 개라는 사실을 안다고 해도 어느 문서인지 찾을 수도 없다. 하지만 다섯 개의 문서에만 ‘구글’이라는 낱말을 태그로 달아두었다면 태그 찾기로 정확하게 구글 관련 주요 문서 다섯 개만 쉽게 찾을 수 있다.

태그는 단일 분류의 문제점도 해결해준다. 꽃이 핀 관악산에서 우리 가족이 토끼를 앞에 두고 찍은 사진이 있다고 해보자. 기존의 단일 분류 게시판 방식에서는 이 사진을 ‘자연-산’에 올릴 경우, ‘자연-꽃’이나 ‘동물-고양이’ ‘인물-어린이’ ‘인물-가족’ 게시판에서는 볼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이 사진에 ‘산, 관악산, 꽃, 개나리, 동물, 토끼, 가족, 사랑, 어린이, 아들, 펜탁스...’와 같은 태그를 붙여둔다면 이 사진은 어떤 주제로도 검색이 가능하다.


<화면 3> 태그의 모양이 구름 모양처럼 들쑥날쑥 하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 꼬리표구름(tag cloud)이다.

국내에서는 태그를 개인 블로그에서 주로 도입해 사용하고 있지만 사실은 쇼핑몰을 비롯한 상업 사이트에서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의자’를 분류할 때 ‘가구-의자’로만 분류했지만 의자의 속성이 가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사람들이 어떤 제품을 구입할 때는 의자부터 생각하지 않고 재료나 색깔을 먼저 고려하는 경우도 있다. 즉 ‘분홍색 계열로 집을 꾸미고 싶은데 쓸만한 물건이 있을까?’ ‘우리 가게는 금속 재질로 꾸며서 미래적인 분위기를 한 번 만들어봐야지.’라고 생각하고 쓸만한 물건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이때 금속으로 된 물건에서 디자인이 괜찮은 금속제 의자를 보고 구입할 수도 있고, 분홍색 계열 제품 중에서 의자나 꽃병을 보고 거실에 두면 잘 어울리겠다고 생각해 구입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의자나 꽃병을 구입하겠다고 생각하고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거실에 어울리는 색깔의 제품을 찾다가 의자와 꽃병을 구입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의자는 ‘가구-의자’로만 분류할 것이 아니라, ‘색깔-분홍색-의자’ ‘재질-금속-의자’ ‘크기-1인용-의자’ ‘사용연령-유아용-의자’ 등으로 수도 없이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분홍색, 금속, 1인용, 유아용, 10만원대, ...’등은 모두 의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하나고 이런 속성으로도 원하는 의자를 찾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에트시(www.etsy.com)라는 사이트를 보면 태그를 이용해 제품을 색깔이나 재질별로도 찾을 수 있게 해준다. 에트시처럼 국내 사이트도 태그를 다양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화면 4> www.etsy.com 사이트는 재질이나 색깔 별 태그를 활용한다.

태그도 해결할 문제점이 많다. 먼저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태그를 달지 않아도 되는 자동태깅시스템이 필요하다. 자동태깅시스템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자료에 있는 메타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다. 사진에는 사진 촬영 시각과 노출도, 해상도, 촬영 기종 정보가 들어가는데 이런 것은 자동으로 추출해 달아줄 수 있다. 아마존이 활용하는 것처럼 사진기에 GPS를 연결하면 사진을 찍은 장소도 자동으로 넣어줄 수 있다. 태터툴즈처럼 많은 사용자들이 선택한 태그를 추천 태그로 제시해주는 추천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작성자가 쓴 태그가 주제와 어울리지 않을 수도 있다. 작성자는 영화에 대한 글이라고 태그를 달았지만 독자는 오히려 ‘가족사랑’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때문에 독자가 태그를 다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태그와 같은 폭소노미(Folksonomy, 대중분류)가 주목받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경우 더 정확해지고 대중적 가치를 가진 정보를 찾기 편하기 때문이다. 태그는 사용자의 선택과 결정을 돕는 기술이다. 이 때문에 태터툴즈 eolin(www.eolin.com), 태그클라우드(www.tagcloud.com), 이글루스(www.egloos.com) 가든처럼 다양한 곳에서 태그를 활용하고 있다.

새로운 개념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Ajax
Ajax는 ‘Asynchronous xxxxJavaScript and XML’의 줄임말로, 뜻은 ‘비동기 자바스크립트 XML’으로 구글과 야후, 아마존 등의 여러 서비스에서 Ajax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Ajax’라는 낱말은 제시 제임스 가렛(Jesse James Garrett)이 2005년 2월 18일 쓴 ‘A New Approach to Web Applications’이라는 에세이에서 ‘Ajax(Asynchronous xxxxJavaScript + XML)’라는 낱말로 이 기술을 소개한 이후 퍼졌다. Ajax는 현재 ‘에이잭스’나 ‘아작스’로 표기하고 있는데, 원음에 가까운 ‘에이잭스’ 표기가 늘고 있다.

(Box)---------------------------------------------------------------------------------------
Ajax가 포함하는 기술
- XHTML과 CSS를 이용한 웹 표준 기반 구현
- Document Object Model을 사용한 동적인 화면과 상호작용
- XML과 XSLT를 이용한 자료 교환과 처리
- XMLHttpRequest를 사용한 비동기 자료 검색
- 그리고 이들 기술을 묶어주는 자바스크립트
-------------------------------------------------------------------------------------------

* 제시 제임스 가렛의 글 : http://www.adaptivepath.com/publications/essays/archives/000385.php


<화면 5> 제시 제임스 가렛이 비교한 이전의 웹 응용 모델과 Ajax 웹 응용 모델의 차이

제시 제임스 가렛은 Ajax에 대해 “여러 가지 기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기술로도 훌륭하지만 함께 하면 더 강력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Ajax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지만 Ajax를 응용한 기술들을 보면 Ajax가 사용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유용한 기술이라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한 예로 패닉닷컴 쇼핑몰(http://panic.com/goods/)에서 셔츠를 구입하는 과정을 보자. 마우스로 셔츠를 아래에 있는 장바구니(Shopping Cart)로 끌어다놓기만 하면 된다. 중간에 마음이 바뀌면 장바구니의 셔츠를 다시 진열대로 끌어다 놓기만 하면 된다. 학습이 줄고 사용성이 강화되는 웹2.0의 인터페이스가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다.

구글 지도(http://maps.google.com/)를 보면 웹표준을 최대한 따르면서 Ajax로 구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글 지도는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별도의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깔지 않고 사용한다. PC용 브라우저는 물론이고 휴대전화, 휴대용게임기, PDA, 냉장고와 같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모든 기기에서 구글 지도를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PC에서조차 별도의 플러그인을 깔아야 하는 국내 지도 서비스와 다른 점이 여기에 있다.

구글 지도는 좋은 기술로 끝나지 않는다. 구글 지도의 위성사진을 선택하면 가보지 않은 지역이라도 집 주변이 공장지대인지, 유흥가인지, 아이가 학교에 가기 위해 횡단보도를 몇 번이나 건너야 하는지, 학교까지의 거리는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방 나왔어요. 보러 오세요.”라고 연락이 오면 조퇴를 하고 방을 보러 가지만, 미국에서는 구글 지도를 이용해 집에서 초등학교까지 거리가 멀다고 말하면서 몇 번지 주변의 방을 구해달라고 구체적으로 위치를 지정해 말할 수 있다. 즉 부동산문화가 바뀌는 것이고, 유통문화가 바뀌는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처럼 기획자나 개발자는 기술 외에도 기술로 인한 문화적 변화까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화면 6> 위성사진과 결합된 하이브리드 메뉴를 이용하면 해당 지역에 가지 않고도 집 주변 환경을 알 수 있다.

구글 개인화 홈페이지(http://www.google.co.kr/ig)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해 단락을 손쉽게 옮길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 기술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은 서버에서 보내준 화면은 고정된다는 HTML 문서에 대한 고정관념을 깬 점이다.

구글은 이미 불러온 화면도 좌우를 바꿀 수 있다는 새로운 발상의 전환을 보여주고 있다. PDA 등으로 네이버 뉴스를 보면 오른쪽에 있는 ‘오늘의 주요뉴스’가 안 보여 답답하다. Ajax 기술을 이용한다면 오른쪽의 ‘오늘의 주요뉴스’를 왼쪽으로 옮기고, 왼쪽의 뉴스 본문을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네이버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별도의 모바일용 웹페이지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페이지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 되는 일이다.

웹2.0 시대에 필요한 것은 철학과 실천
간략하게 소개했지만 웹2.0을 구성하는 기술은 훨씬 다양하다. 배우려는 마음만 먹는다면 웹에 있는 수많은 문서를 통해 웹2.0을 공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술 익힘보다 철학 만들기가 더 중요하다. 나는 ‘웹2.0 기술을 어떻게 이용하면 돈을 벌 수 있을까?’를 생각하기보다는 ‘사람들이 좀 더 편리하고 행복해할 수 있는 서비스가 무엇일까?’를 먼저 고민하라고 말한다. 그 다음에 그 서비스가 돈이 될지를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철학은 기술을 만들고 기술은 문화를 만든다. 행복한 철학은 행복한 기술과 문화를 만든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야후의 제리양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뛰어난 기술이 아니라 좋은 철학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제리양이 공개한 즐겨찾기 목록은 웹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만들 수 있는 HTML 문서에 불과했다. 그러나 제리양은 자신의 즐겨찾기 목록을 공개했고, 이 목록을 유용하게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더욱 많은 사이트를 알려주었다. 이렇게 제리양의 즐겨찾기 목록에 추가된 사이트가 늘면서 한 눈에 보기 어렵게 되자 디렉토리 분류 기술이 필요해졌고 검색 기술이 필요해졌다. 공개와 공유 정신, 참여와 협업이 야후의 성공으로 이어진 것이다.

야후도 블로그 프로그램인 태터툴즈도 메타사이트인 올블로그도 며칠이면 뚝딱뚝딱 만들 수 있다. 많은 이들이 “나는 올블로그 같은 메타사이트는 하루면 만들 수 있어”라고 말한다. 하지만 오늘 우리가 알고 있는 낱말은 야후와 태터툴즈, 올블로그다. 태터툴즈나 올블로그를 만든 개발자가 국내 개발자 중에서 가장 뛰어난 실력을 가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들은 ‘실제로 실천했기에 위대한’ 것이다. 백 마디 말보다 하나의 실천이 중요한 것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진리인 것이다.


<화면 7> 한 사람의 작은 실천이 태터앤컴퍼니라는 기업으로 발전했다.

웹2.0의 구성 요소가 새로운 것은 아닐지라도 웹2.0은 새로운 생각의 기회, 더 적은 돈으로 아이디어를 구현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플릭커나 델리셔스, 블로그라인스를 비롯한 수 천 개의 웹2.0 신생기업이 보여주고 있다. 수 천 개의 신생 웹2.0 기업이 모두 성공할 수는 없겠지만 웹2.0이라는 낱말이 새로운 생각의 기회, 새로운 실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할 가치는 있다. 백 가지 생각으로는 세상을 바꾸지 못하지만 하나의 실천은 세상을 바꿀 수도 있다.

출처 : 블로그와이드
글쓴이 : Geni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