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꾸미기

[스크랩] 블로그란 무엇인가?

살라이마리꼼 2008. 4. 2. 10:55

처음 네이버에서 블로그활동을 시작했을 때만 해도 블로그는 그저 관심 있는 뉴스나 자료를 스크랩해두는 용도로 활용하였습니다.
이후 테터툴즈라고 하는 설치형 블로그 프로그램을 알게되었고 1인 미디어로써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어졌습니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깜냥닷컴(http://
www.ggamnyang.com) 입니다.
이제 블로그와이드(http://cafe.daum.net/blogwide)에서 블로그의 가치를 극대화하여 블로그 하나하나가 하나의 매체로써 성장할 수 있도록 좋은 정보를 공유하고 수익모델을 찾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블로그는 무엇일까요?
블로그의 정의를 위키피디아에서 찾아봤습니다.

 

블로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Jump to: navigation, 찾기

블로그(Blog 혹은 Web log)란 Web(웹)과 Log(로그)를 합친 낱말로, 스스로가 가진 느낌이나 품어오던 생각, 알리고 싶은 견해나 주장 같은 것을 에다 일기(로그)처럼 차곡 차곡 적어 올려서, 다른 사람도 보고 읽을 수 있게끔 열어 놓은 글모음이다. 보통 시간의 순서대로 가장 최근의 글부터 보이며 여러사람이 쓸 수 있는 게시판(BBS)과는 달리 한사람 혹은 몇몇소수의 사람이 글을 올릴 수 있다. 이러한 개인적이면서도 때에 따라서는 기존의 어떤 대형 미디어에 못지않은 힘을 인터넷을 통해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1인 미디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이것의 시초는 원래 컴퓨터 통신 시절의 게시판에 자신의 이야기를 올리던 것이 인터넷의 발달과 개인적으로 게시판을 운영할 수 있게 되는 서비스와 환경이 제공됨으로서 인기를 끌게 되었다. 처음에 나왔던 블로그에는 단순히 택스트인 글을 올리고 읽는 기능만 있었으나, 사진, 음악, 플래시, 동영상등을 포함할 수 있도록 발전하였다. 또한 블로그에 댓글(Reply)와 트랙백(Trackback,다른 블로그에 자신의 글을 보내거나 반대로 다른 블로그의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보내는 기능)을 달 수 있게 함으로서 블로그 독자들과의 의사소통이 확장되도록 발전하였으며 RSS나 Atom으로 손쉽게 구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택스트 중심에서 분화된 오디오의 팟캐스트비디오팟캐스트도 발전하고 있다.

블로그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전문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포털사이트의 블로그 서비스 혹은 자신의 서버 계정에 직접 설치하여 만드는 설치형 블로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보통 이러한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인기있는 블로그들은 구글 애드센스등의 광고를 삽입하여 수익을 올리기도 하며 기업에서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여 소비자와의 관계를 돈독히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1] 한편 국립국어원의 우리말다듬기에서는 블로그를 누리사랑방이란 말로 대신하기를 권장한다.

2007년 현재 블로그 검색엔진인 테크노라티는 약 7천1백만개의 블로그를 검색하고 있다.

//

[편집] 블로그의 역사

인터넷 이전 시대인 1980년대 부터 유즈넷이나 상업적인 전자게시판서비스를 통해 동호회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이 발달 하였다. 한국에서는 천리안, 하이텔등의 서비스에서 여러 가지 동호회 기능을 서비스 하고 이들 동호회에서 게시판에 글을 올리고 보는 것이 활성화었으며 이후에 이러한 게시판에 글을 자주 올리고 회원간에서 인기를 끄는 글이 자연스레 생김으로서 네트워크상의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의 발달이 시작 되었다.

1994년에는 미국의 저스틴 홀이 시작한 온라인 일기가 가장 초기의 블로그 중 하나로 뉴욕 타임즈등 일간지에 소개되었다. 초기 대부분의 웹페이지에는 새글(What's new)와 차례표(Index) 페이지가 있었으며 이때 차례표는 보통 가장 최신의 글이 위에 부터 게시되거나 순서대로 제목이 나열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전자게시판 동호회의 것과 같다.) 개인적인 블로그는 뉴스를 전달하는 기능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는데 보통 처음에는 다른 뉴스의 원천에서 퍼나르기를 하지만 매트 드러지가 만든 드러지 리포트사이트는 전문 뉴스 채널 못지 않는 속보와 특종으로 유명하게 되었다.

초기의 블로그는 간단한 프로그래밍이나 HTML에디팅만으로도 가능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때라 관리에 힘이 들어가게 되었고 곧 워드프레스,무버블 타입,블로거라이브 저널같은 블로그 소프트웨어 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기존의 웹 서비스나 포털 서비스에서도 이러한 블로그 기능이 추가되어 개인화 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2001년 12월 최초의 블로그 사용자들의 모임인 '웹로그인 코리아'가 생겼으며 이후 싸이월드미니홈피가 인기를 끌면서 대중화 되었으며 이후 네이버, 다음등에서 블로그 서비스를 지원하고 설치형 블로그인 테터툴즈,티스토리등이 인기를 끌면서 계속 인기를 모으고 있다.

[편집] 태동

[편집] 블로그의 한국화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편집] 각주

  1. 실제 기독교출판사 복있는 사람에서는 네이버블로그를 이용해서 자사 단행본를 홍보하는등 블로그는 기업이 자신들을 알리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위키백과의 글은 GNU FDL에 따라 자유롭게 고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블로그와이드
글쓴이 : Geni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