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있어 정보의 전송 체계를 완전히 변화시키고 있는 웹 퍼블리쉬 포맷인 * RSS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 역자주 – RSS란 뉴스나 블로그와 같이 컨텐츠 업데이트가 자주 일어나는 웹사이트에서 업데이트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쉽게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로, 웹사이트끼리 자료를 주고받기 위한 표준 통신 포맷이다.
RSS는 최근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발 빠르고 현명한 이용자들은 최신 사건을 접하고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는 채널로써 * RSS 피드를 매우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RSS가 아직은 급격한 성장 단계에 있는 신기술이고, 심지어 우리가 정보를 소비하는 방법까지도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RSS에 대해 다소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 역자주 – RSS feeds란, 한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의 주요 글들을 RSS를 통해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렇게 RSS 기사를 공급(feed)해주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RSS feed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RSS의 정의, 즉 RSS란 무엇인지, 왜 검색자나 검색 마케터 모두에게 RSS가 중요한지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RSS 검색툴과 그것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 RSS 포맷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읽어 들이고 구독하며 찾기 쉽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인 RSS 리더(RSS reader-RSS를 읽는 프로그램)를 차차 소개해 나갈 것이다.
RSS란 무엇인가?
누구에게서, 어떠한 설명을 듣는지에 따라 RSS는 수많은 의미를 갖는다. RSS에 대한 위키피디어(Wikipedia-미국의 온라인 백과사전)의 정의를 보면, RSS 라는 약어는 여러 가지 기준에 따른 논쟁으로 몇 차례 변화되었다.
최초의 RSS는 RDF Site Summary에서 따온 약칭이었는데, 이는 1999년 3월 넷스케이프 포털에서 처음 소개된 것이다. 넷스케이프는 최초의 고객 맞춤형 포털 중 하나였으며, RSS는 사용자들이 광범위한 웹 정보들 중에서 특정한 형태의 컨텐츠를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핵심요소였다.
그 직후인 1999년 7월, Rich Site Summary(풍부한 사이트 요약)라는 정의가 뒤따라 나왔다. 이 RSS 표준은 넷스케이프 RDF Site Summary를 만들어 낸 Dan Libby와 유사한 포맷인 스크립팅 뉴스(ScriptingNews)의 제작자인 Dave Winer에 의해 공동으로 만들어졌다.
이 때, 넷스케이프는 더 이상의 개발에 흥미를 잃게 된다. Winner는 본인의 작업을 계속 발전시켜 나갔지만, RSS-DEV라 불리는 다른 연구진은 RSS표준에 대하여 다른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2002년 8월 Winer는 RSS에 대한 자신의 기존 이론을 보완하여 Really Simple Syndication(매우 간단한 배급)이라는 명칭을 제시했다.
* 역자주 – 아직 업계 표준 채택을 둘러싸고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중이며, 해석이 다양한 이유는 다양한 기준의 RSS 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멈추지 않고 2003년 6월, 또 다른 연구진이 아톰(Atom)이라 불리는 새로운 포맷을 제안하게 된다. RSS 표준에 대한 업계의 논란은 여전히 뜨겁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사실상 RSS를 사용함에 있어 약어나 표준, 그 밖의 자질구레한 부분들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중요한 사실은 RSS 툴의 제공자가 누구이든, RSS 피드(RSS feeds)의 공급자나 소비자 모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기 위하여 노력했다는 사실이다.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아주 기본적인 이해만 있다면, 그러한 모든 논쟁은 무시하고, RSS 포맷 내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풍부한 컨텐츠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약어에 대한 논쟁을 제외하면, RSS는 기본적으로 * XML을 이용하여 표준화 된 방식으로 웹 기반 컨텐츠를 구성하고 포맷하는 비교적 단순한 기술이다. 컨텐츠의 소유자가 RSS 피드를 생성하고 XML이 대개 제목과 간단한 설명, 또는 사이트 내의 기사들로 구성되는 웹 페이지를 구성한다. RSS 피드는 표준 RSS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RSS 피드 리더(또는 어그리게이터 aggregator)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쉽게 읽혀질 수 있다. 대부분의 피드 리더들은 현재의 모든 RSS 표준체계들을 처리할 수 있다.
* 역자주 – XML 이란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머리글자로 HTML을 개선한 차세대 인터넷 언어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공통언어이다. HTML이 웹브라우저를 통해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언어라면, XML은 보여주는 것과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를 사용하고 싶은 형태로 이용, 가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RSS 피드와 일반 웹 컨텐츠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사실상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한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다. 즉, RSS 피드에서 배포되는 컨텐츠는 새로운 내용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공지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새로운 컨텐츠가 RSS 검색엔진과 리더에 즉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반적인 웹 페이지는 근본적으로 수동적이며, 대개 검색엔진 크롤러가 컨텐츠를 찾아내고 인덱스 하기 전에는 우리에게 도달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컨텐츠들이 검색 이용자들에게 노출될 기회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이것이 바로 RSS가 중요한 이유이자, 모든 검색 이용자들이 RSS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이다. RSS 피드 리더는 당신이 중요하고 유용하다고 여기는 정보를 구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구독하기로 한 내용이 업데이트 되는 즉시 당신에게 알릴 것이다. 즉, RSS 피드로 제공 받은 내용이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실상 모든 자료들을 다 찾아볼 필요가 없다.
그뿐 아니라 RSS는 다른 장점도 가지고 있다. RSS는 블로거와 새로운 미디어 조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RSS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최신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도네시아의 쓰나미 또는 런던의 폭파사고 등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RSS 검색엔진을 통하여 기존 미디어들이 해당 사건의 목격자 보도자료를 내기도 전에 당시 현장에 있던 사람들에 의해 곧바로 공개된 정보나 이미지, 화면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블로그 꾸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블로그에 음악파일 올리기 (0) | 2008.04.02 |
---|---|
[스크랩] 플래시.음악 파일 -블로그나 카페에 올리기 (0) | 2008.04.02 |
[스크랩] 블로그란 무엇인가? (0) | 2008.04.02 |
[스크랩] 웹2.0의 세 기둥 RSS, tag, Ajax (0) | 2008.04.02 |
[스크랩] 화면캡쳐 프로그램 "오픈캡쳐" (0) | 2008.03.23 |